폐가전 버리는 법 : 무료 수거 서비스 100% 활용 가이드
폐가전 버리기 어렵다면? 무료 수거 서비스로 해결하세요!
이사를 하거나 대청소를 하다 보면 필요 없는 가전제품이 한가득 쌓이곤 합니다. 오래된 TV, 고장 난 냉장고, 사용하지 않는 전자레인지 등등…
이런 가전제품을 그냥 버리려면 폐기물 스티커를 구매해야 하거나 처리가 번거로울 수 있습니다. 하지만, 정부에서 제공하는 폐가전 무상 수거 서비스를 이용하면 완전히 무료로 처리할 수 있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오늘은 폐가전 무료 수거 서비스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고, 신청 방법부터 이용 시 주의할 점까지 한눈에 정리해 보겠습니다.
폐가전 무료 무상 수거 서비스란?
✅ 정부가 운영하는 무료 폐가전 수거 서비스
"e순환거버넌스"라는 이름으로 운영되는 무상 방문 수거 서비스는, 별도의 가입이나 수수료 없이 폐가전을 무료로 처리할 수 있는 서비스입니다.
▶ 서비스 개요
- 운영 기관: 환경부 지원, 한국전자제품자원순환공제조합 운영
- 이용 가능 지역: 전국 (일부 도서산간 지역 제외)
- 수거 방식: 방문 수거 (집 앞에 배출하면 가져감)
- 신청 방법: 인터넷 또는 전화 신청
▶ 이용하면 좋은 점
- 비용 절감: 무료로 수거해 가므로 폐기물 스티커 필요 없음
- 편리한 신청: 인터넷 또는 전화 한 통이면 끝!
- 친환경 처리: 버려진 가전을 재활용해 환경 보호 효과
무료로 버릴 수 있는 가전제품
단일 품목으로 수거 가능한 대형 가전
- 냉장고
- 세탁기
- 건조기
- 에어컨
- TV
- 전기오븐
세트로 묶어서 배출 가능한 가전
- 오디오 세트
- 데스크탑 PC (본체 + 모니터 + 키보드 + 마우스)
소형 가전(5개 시상 묶어야 수거 가능)
- 전자레인지
- 청소기
- 프린터
- 가습기
- 선풍기
- 노트북
- 핸드폰 등
소형 가전 5개 미만이라면 (폐가전 수거함 이용)
소형 가전이 5개 미만이라면 폐가전 수거함을 이용하면 됩니다. 수거함 위치를 검색해 가까운 곳에 직접 배출하면 됩니다.
📍 폐가전 수거함 찾는 방법은 자원순환실천플랫폼에서 찾을 수 있습니다. 아래를 통해 거주지와 가까운 폐가전 수거함 위치를 찾아서 배출하시기 바랍니다.
서비스 신청 방법 및 주의할 점, 서비스 장점
서비스 신청 방법
1단계: 신청하기
- 온라인 신청 : e순환거버넌스 바로가기
- 전화 신청: ☎ 1599-0903
- 신청 가능 시간 : 월 ~ 금 08:00 ~ 18:00, 휴무일 매주 토, 일/공휴일(신정, 근로자의 날, 설 추석 연휴 등)
2단계: 수거 예약 완료
- 개인정보 이용 동
- 배출할 가전제품 입력 후, 희망 날짜 선택
- 주소 및 연락처 입력
3단계: 수거 당일, 문 앞에 배출
- 별도의 작업 없이 현관 앞에 놓아두면 자동 수거
- 크레인 등 장비 없이 사람이 직접 옮길 수 있는 경우만 가능
- 수거 차량 운영일 : 월 ~ 금, 휴무일 매주 토, 일/공휴일(신정, 근로자의 날, 설 추석 연휴 등), 지역에 따라 수거 가능 요일이 상이합니다.
▶ TIP
- 방문 수거 전, 예약일을 문자로 안내해 줌
- 수거 전날까지 변경 가능
- 부피가 크거나 철거가 필요한 경우에는 직접 분리해야 함
서비스 이용 시 주의할 점
🚨 이 서비스가 적용되지 않는 경우
✔ 가전제품이 벽에 고정되어 있어 직접 분리해야 하는 경우
✔ 크레인 또는 사다리차가 필요한 경우
✔ 소형 가전이 5개 미만일 경우
서비스 장점
1) 비용 절감 (100% 무료 서비스!)
일반적으로 가전제품을 버릴 때는 폐기물 스티커를 구매해야 하지만, 이 서비스를 이용하면 완전히 무료로 버릴 수 있습니다.
2) 친환경 처리로 온실가스 감축 효과
폐가전을 아무렇게나 버리면 환경오염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정부에서 운영하는 서비스로 처리하면 자원 재활용 및 온실가스 감축 효과까지 기대할 수 있습니다.
3) 편리한 신청 절차 & 방문 수거
집에서 직접 방문해 가져가기 때문에 무거운 가전을 옮길 필요 없이 손쉽게 처리할 수 있습니다.
마무리
이사철이 가까워지면서 불필요한 가전제품을 정리하는 일이 점점 많아지고 있습니다. 사용하지 않는 가전제품을 그대로 방치해 두기보다는, 정부에서 운영하는 폐가전 무상 수거 서비스를 적극적으로 활용해 보는 것이 좋습니다.
이 서비스는 대형 가전제품뿐만 아니라 소형 가전제품까지도 무료로 수거해 주기 때문에, 번거롭게 직접 폐기할 필요 없이 간편하게 처리할 수 있습니다.
필요할 때 신청만 하면 지정된 날짜에 수거해 가므로, 환경 보호에도 기여하면서 편리하게 정리할 수 있는 좋은 방법입니다.
지금까지 폐가전 무료 수거 서비스에 대하여 알아보았습니다. 자자체에 폐가구 무료 수거 신청하는 방법은 [함께 보면 도움 되는 글]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함께 보면 도움 되는 글]
폐가구 무료수거 지자체 신청방법 알아보기
오래 사용한 가구는 폐가구로 부피가 크면 혼자 옮기기도 힘든 경우가 많습니다. 부피가 그리 크지 않아도 연세 많으신 어르신들의 경우 혼자서 옮기기 힘듭니다. 이런 폐가구 무료수거 지자
googongsoo.googongsoo.com
'생활복지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케이뱅크 보물지도 이벤트 : '봄소풍 보물찾기' 비트코인과 현금 최대 1,000만 원 받을 기회! (0) | 2025.03.11 |
---|---|
2025 교육급여 바우처 및 교육비 지원 신청 가이드 – 자격, 혜택, 신청 방법 총정리 (1) | 2025.03.11 |
‘선양 오크’ 출시! 오크통 숙성 소주 시음기, MZ세대의 트렌드가 되다 (1) | 2025.03.07 |
지디 지압슬리퍼, 손민수템으로 뜬 이유! 패션 아이템으로 가능할까? (1) | 2025.03.04 |
미세먼지 농도 및 예보 확인법부터 건강 관리 꿀팁 공개! (1) | 2025.02.28 |
댓글